온라인문의 유선문의

R&DResearch and Development

R&D (Research and Development)는 우리말로 '연구개발'이라 하며, 기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하고 기존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하는 모든 혁신적인 활동을 의미합니다.

R&D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연구(Research)'는 새로운 과학적, 기술적 지식을 발견하고 탐구하는 활동이며, '개발(Development)'은 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제품, 서비스, 공정을 만들어내거나 개선하는 실용적인 활동입니다. R&D는 기업의 장기적인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투자로 여겨집니다.

쉽게 말해, 미래의 '먹거리'를 만들기 위한 모든 탐구와 실험 과정입니다. 당장의 수익보다는 미래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투자이며, 정부는 이를 장려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펼치고 있습니다. 🔬

R&D의 3가지 유형

R&D는 그 목적과 성격에 따라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OECD Frascati Manual 기준)

① 기초연구 (Basic Research) 🧪

특정한 상업적 목적 없이, 새로운 과학적 원리나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순수 연구 활동입니다.

② 응용연구 (Applied Research) ⚙️

기초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특정 실용적인 목적(제품, 공정 등)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활동입니다.

③ 개발연구 (Experimental Development) 🚀

기존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제품, 서비스, 공정을 개발하거나 기존 것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활동입니다.

R&D 투자의 핵심 이점 4가지

R&D 투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지만, 성공할 경우 기업에 막대한 유무형의 이점을 가져다줍니다.

① 기술적 우위 확보 🏆

경쟁사가 모방하기 어려운 독자적인 기술력을 확보하여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② 지식재산권(IP) 창출 📜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등 배타적 권리를 갖는 지식재산권을 확보하여 기술을 보호하고 추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③ 정부 지원 혜택 💰

연구개발비에 대한 세액공제, 정부 R&D 사업 참여, 정책자금 융자 등 다양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생깁니다.

④ 기업 가치 증대 📈

지속적인 R&D 활동은 기업의 혁신성과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어 투자 유치 및 기업 가치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기업부설연구소: R&D 지원의 필수 관문

국내에서 R&D 관련 정부 지원 혜택을 본격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설립하여 인정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요건

  • 인적 요건: 기업 규모에 따라 일정 수 이상의 연구전담요원을 확보해야 합니다. (자연계 학사 이상 등 자격 기준 충족)
  • 물적 요건: 다른 부서와 구분될 수 있는 독립된 연구 공간과 연구 활동에 필요한 기자재를 보유해야 합니다.
  • 설립 신고: 위 요건을 갖추어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KOITA)에 온라인으로 설립 신고를 하고 인정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주요 혜택: 인정서 발급 후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연구원 인건비 지원, 병역특례, 정부 사업 가점 등 다양한 혜택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